2018년 2월 22일 목요일

니폰이치 소프트웨어에 관하여

SRPG 한정으로 일본제일(日本一) 이라는 대담한(!) 사명을 가진 일본의 게임 제작사. 약칭 NIS. 사명을 지은 것은 사장인데 전 스태프의 반발을 무릅쓰고 사장이 결정했다고 한다. 한국에선 회사명의 독음을 알기 어려운지 니폰이치나 니혼이치, 닛폰이치 등 여러 표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영어명에서 볼 수 있다시피 日本一의 日本은 にっぽん으로 읽는다.[2] 일반적으로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촉음(っ)을 ㅅ받침으로 표기하기 때문에 '닛폰이치 소프트웨어'가 맞는 표기지만, 국내 유통사(인트라게임즈, CFK 등)의 보도 자료나 한국어판이 발매된 게임에서 니폰이치라고 번역이 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 명칭은 '니폰이치 소프트웨어'다.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SRPG를 제작한 회사 (The most prolific publisher of Strategy Role-Playing video games)로 등재되었다. 등록 자체는 2008년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 외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레벨 업이 가능한 게임', '세계에서 가장 표시되는 대미지가 큰 게임'이라는 기록의 등록도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모두 회사에서 신청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주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혹은 RPG를 만들었지만, 최근 다양한 장르를 만들고 있다. 기본적으로 귀여운 캐릭터 디자인이 특징.

이 회사의 여름/신년 엽서는 회사 게임의 팬들에게는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엽서들에 들어가는 일러스트는 바로 차기작의 정보이기 때문. 실제로 2010년 여름안부엽서는 '디스가이아4', 2011년 여름안부엽서는 '마녀와 백기병'의 일러스트였다. 다만, 엽서에 나온다고 그 엽서의 캐릭터가 반드시 주인공이 되지는 않는다. 2012년 신년엽서의 신작은 신과 운명 혁명의 패러독스(PS3),2014년 여름 안부 엽서는 디스가이아 5(PS4).

회사 본사는 일본의 중부 지방이라고 할 수 있는 기후 현의 가카미가하라(各務原)시에 위치해 있다.(디스가이아와 프리니의 고향, 니폰이치 소프트웨어를 가다)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도시가 제대로 시골 포스다. 2015년에 87제곱킬로미터에 인구 15만명짜리 도시니까, 대략 경기도 하남시(93제곱킬로미터, 15만명) 수준

전신이 된 회사명은 '유한회사 프리즘'으로 1991년에 창립되었다. 유한회사 프리즘은 현 니폰이치 소프트웨어의 회장인 키타즈미 코이치 회장이 썬전자의 게임 개발자 6명과 함께 설립한 회사이다. 

회사 운영과 개발 과정에서 프리즘 기획(현 니폰이치 소프트웨어)를 설립하고,1993년 7월 12일 주식회사 니폰이치 소프트웨어로 사명을 변경하고 1994년부터 마작, 직소 퍼즐 관련 게임들의 개발을 주로 맡게 되었다. 

1998년 불꽃의 요리인 쿠킹파이터 하오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동년 연말에 발매한 메르헨 스타일의 뮤지컬 RPG 마알왕국의 인형공주의 성공으로 자신들의 이름을 알린 니폰이치는 마알왕국 시리즈가 성공을 거두자 연이어서 야리코미(파고들기) 요소가 강한 SRPG 라 퓌셀: 빛의 성녀 전설과 마계전기 디스가이아를 발매하여 메이저 제작사로 등극했다.

이후 계속해서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로만 게임을 내 왔으나, 2008년부터는 여러 기종으로 게임들을 발매하기 시작했다. 휴대용 기기의 경우 PSP, NDS, 휴대폰 등으로 자사의 게임들을 이식해서 발매 하다가, PSV용 게임 특수보도부, htoL#NiQ-반딧불이의 일기, 아이폰용 게임 마메퀘 등 휴대기기 전용 작품들도 내놓기 시작하고 있다. 요즘에 휴대기로 먼저 나왔다가 거치기로 이식되는 경우도 많은 편.

퍼블리셔로서도 활약 중이며 원래는 해마다 두 세개 정도의 게임을 발매하던 것이 퍼블리싱을 시작한 2007년부터는 매년 평균적으로 열개 무렵의 게임을 발매하게 된다. 북미와 유럽시장의 유통망을 확보하기 위해 자회사도 만들고 미국지사(NIS America)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2012년 10월에 오사카에 새로 개발 스튜디오를 설립하였다.

2013년 프로 축구클럽 FC기후의 공식 후원사가 되었다.

2015년 4월 베트남에 Nippon Ichi Software Vietnam Co., Ltd.를 설립하였다.

2016년에는 자사 게임들을 PC로 하나둘씩 이식하고 있다. 2월에 이식된 마계전기 디스가이아를 시작으로, 5월에는 htoL#NiQ-반딧불이의 일기가 이식되었으며, 이후에도 팬텀 브레이브나 요마와리: 떠도는 밤 등 여러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PC로 이식되고 있다.

2017년에는 디스가이아 5를 닌텐도 스위치에 내놓아 간을 보고 나서[3] 2018년 부터는 PS4와 스위치 멀티플랫폼 위주로 게임을 출시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원래 PSP와 비타 등 포터블 콘솔에 좀 더 어울리는 게임들을 내놓았던 니폰이치였던 만큼 스위치의 흥행을 눈여겨본 듯 하다.
.

2011년 1월 3일 월요일

MicroTonic drum machine VSTI V3.0 발표!



마이크로토닉 드럼머신 VSTI V 3.0이 드디어 발표가 되었다.
지난 해 12월 31일을 기해 발표가 되었으며 2.0 버전 정식 등록사용자들은 free로 업그레이드를 받을 수 있다. 단, 이전 버전의 등록정보를 가지고? 등록을 갱신해야 3.0 버전의 등록키를 받을 수 있다. 간단하게 이루어지니 정식버전 사용자들은 바로 업데이트하시라.

매번 마이크로 토닉 관련 포스팅할 때마다 하는 말이지만,?하드웨어 박스에 담아내기만 하면 정말 웬만한 그루브머신/드럼머신들 뺨치는?물건이 될 수도 있는 것이 이 마이크로 토닉이다. 그렇지만 원제작자는 하드웨어로는 만들 생각은 결코 없단다.

아무튼 이 마이크로 토닉, 특히나 일렉트로닉쪽 음악을 지향하는 뮤지션들에게는 필수 품목에 들어갈 만한 것이 마이크로 토닉이니 그쪽 음악을 하면서 아직도 모르는 사람이?있다면 이번 기회에 관심을 가져보라. 후회안할 것이다.

워낙 완성도가 높은 VSTI인지라 굳이 새 버전이 필요? 이런 생각까지 들긴 하지만, 그래도 이래저래 다양한 추가와 향상이 있다. 아래는 공식 웹사이트에서 가져온 추가사항과 향상들이다. 위에 캡쳐 스크린샷은 기본 GUI와 이번 버전에서 새롭게 추가된 매트릭스 에디터이다.

??Major New Features A morph slider allows you to interpolate all eight drum patches simultaneously between two end-points. You can edit the drum patches with the morph slider at any position and it will adjust the interpolation end-points accordingly. Morph is an automatable and MIDI controllable parameter, so it can be used both as a performance parameter as well as an editing feature.Matrix editor window for viewing and editing the pattern steps of all eight drum channels simultaneously. (Bonus feature: you can drag channel labels to reorder the drum channels of the preset.)MIDI Program Change message support for instantaneously switching between up to 16 different presets (loaded into memory). (It is also possible to switch programs with MIDI notes.)Drag and drop patterns as MIDI files directly into your sequencer (supported by all major hosts).“Edit All Channels” button enables adjusting parameters for all drum channels simultaneously. E.g. turn up the distortion on all channels. μTonic will write parameter automation for all affected channels, so the effect can be automated.A new “choke group” feature lets you assign two or more channels that should play mutually exclusively and cut each other off. Useful for closed and open hi-hats for example.A preset name display sits in the top of the window, with previous and next preset buttons and a popup list when you click the display.Support for MIDI Pitch Wheel for real-time pitch transposition with a range of up to 2 octaves.A new “Stop Voices with MIDI Note Off” option makes it possible to sustain the sound while you hold down MIDI keys (if you use μTonic as a synth). It is also useful for changing the length of drum sounds with note lengths in your sequencer.Alternative “pattern launch modes”: “Switch Next” (the behavior in earlier versions of μTonic), “Switch Directly”, “Retrigger” and “Retrigger Gated”.Undo / redo.Shift-click menu buttons to quickly repeat last selected menu item.New 3D-rendered skin. Sharper, brighter, sexier with 32-bit graphics. (Yes, μTonic version 2.0 was using 20th century 16-bit RGB graphics still).

Other Improvements

New menu functions: “Transpose” (all channels or a single drum patch). “Alter Drum Patches” (all channels or a single drum patch). “Randomize Accents and Fills” (on entire pattern or single channel). “Revert to Saved” (revert to last saved version of preset).New trial system: up to three weeks of trial with full functionality. After that μTonic will go silent until you register. Weeks will only be counted when you actually use μTonic.μTonic will now reload the most recently used program bank (of 16 programs) automatically when you create a new instance. (This behavior can be changed from the Preference Dialog.)From the file browser you can now select to load only the patches or the patterns from a preset.All filter algorithms have been replaced with a new custom design based on a modified state-variable topology. It allows exact replication of the original filter response, but with better accuracy, speed and stability when the frequencies are modulated.Parameter smoothing improved to allow quicker unfiltered parameter changes as well as slower filtered changes.You can optionally remap MIDI Controller Change values so that you can reach zero exactly on bipolar parameters. Also, with this option turned on, MIDI CC on the three frequency parameters will be quantized to whole semitones.μTonic can execute simple script files (written in PikaScript) from a popup menu. A script button will show in the top-left corner if μTonic finds script-files in a designated scripts folder.A write protect switch can protect the programs in memory by reverting any edits as soon as you switch to another program.You can assign the same MIDI key or controller number to several different functions. Useful for layering several channels on a single MIDI key or controlling many parameters from the same knob.All existing presets (including those in our additional downloadable patch packages) have been modified to obtain a high degree of consistency concerning which drum channels plays what type of sound. E.g. channel 1 plays bass drum patches, channel 5 plays snare drum patches etc. Also, all presets have been volume normalized using an automatic RMS algorithm.

Minor Changes

μTonic 3.0 uses a new registration key system. Registration keys for version 3.0 are not compatible with previous versions of μTonic.All file formats have been upgraded (using a cleaner and more consistent text format). μTonic version 3.0 files are not downwards compatible with μTonic version 2.0, so new file extensions have been chosen: “.mtpreset” and “.mtdrum”.Noise levels are much more consistent across different sample rates (the levels at 44.1khz were used as reference).New WAV export code allows for 24-bit audio export and improved WAV-file compatibility.Improved timing accuracy of notes and parameter changes, especially when host is using odd (or just very large) buffer sizes. This is at the expense of a constant latency of 64 samples, but all major hosts should support latency compensation.The envelopes are slightly improved. E.g., they now go all the way down to level 0 exactly (avoiding clicks if μTonic is run through extreme compression).Changes to “Mod Amount” will affect the sound immediately. (Previously, changes to this parameter didn't have effect until the next note on.)Step buttons light up when notes are played (Yeah, this is the minor changes section.)

Bug / Compatibility Fixes

Fixed bug with VST midi events outside the current processing block.Fixed minor bug in linear noise envelope decay.Automation now starts directly when you click a fader (instead of waiting until it is dragged).Improved problem with μTonic spontaneously losing registration.Fixed a problem where holes(!) would appear in the user-interface on Mac.Fixed a problem with the oscilloscope when using the multiple outputs version (in certain hosts).Works (better) with host and bridges (e.g. VST Bridge) that runs different instances in different threads.Many, many other minor fixes.


마이크로토닉 공식 웹사이트:
http://www.soniccharge.com/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Creative Commons License

View the original article here

10.12.24. 겨울나라 여행 - 상트 페테르부르크로 향하는 길.

* 크리스마스 이브에 국내에 있기 싫어 떠난. 겨울 나라 여행 이야기.
사진은 모두 클릭해서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가로 사진은 처참하게 잘려보입니다. (스킨 바꾸는 거 포기...)

10.12.24. 부터 10.12.29.까지.
러시아의 상트 페테르부르크에 다녀왔습니다.
(모스코 SVO 공항에서 하루 체류한 건... 일단 잊도록 합니다. 아하하.)

아직 홍콩과 도쿄&고베 여행기도 다 못 올렸지만.
신년을 맞아 새로운 기분으로.

그럼 시작합니다.?


이번 여행의 컨셉은 겨울 나라 여행.
동유럽의 베니스, 상트 페테르부르크로.

이제는 꽤 익숙해진 인천 공항.
언제나 처럼 내가 타고 갈 Aeroflot의 사진도 한 컷.

꽤 여유를 두고 출발했는데, 공항 리무진 버스를 놓치는 바람에.
결국 부랴부랴 탑승장에 갈 수 밖에 없었다.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이 겨울에 왠 러시아?' 이랬는데.
알고 보니 경유를 해서 대개는 터키로 가는 사람들.

비행기에 탑승해서 한 컷.
창문 자리로 달라는 소리도 안 했는데, 알아서 척척 창가로 자리 잡아주는 착한 승무원들. :)

기내 사진도 한 컷.
러시아 비행기... 정말 낡았다.
(나중에 알고보니 러시아 국내선은 새 비행기... 국제선은 낡은 비행기...!!!)

비행기 출발.
언제나 처럼 하늘 덕질... 을 하려고 했는데.
러시아 비행기에서는 사진 촬영을 하면, 혼난다. ㅠㅠ
그래서 눈으로만 감상하면서 사진은 그다지 많이 찍지 못했다.
(나중에 알고보니 추락 사고가 꽤 많은 듯... 덜덜덜.)

그래도 몰래몰래 찍은 사진 몇 장...

알랭 드 보통의 '여행의 기술' 표지 흉내내기.
실은 정면에서 찍어야 하는데... 사진기만 꺼내뭔 러시아어로 뭐라뭐라 해서... ㅠㅠ

내 옆자리에 앉은 분이 주신 초컬릿. 그리고 심심해서 틀어 놓은 미드.
옆자리 분은 고려인이었는데... 사업 관계로 자주 한국을 오가신다고.
한국어와 영어, 러시아어 까지 3개 국어를!!!
명함을 주고 받고, 혹시라도 무슨 일이 생기면 연락하라고 하신다.
그리고 나중에 한국 오면 연락 주시겠다고. ^^

슬그머니 다시 밖의 사진을...
러시아 가는 길은 대륙이 대부분이라, 구름보다는 대륙의 멋진 풍경을 자주 볼 수 있었다.
몽골이나 중앙아시아 어느 부근이겠지...
눈이 덮인 모습도 신기하고 아름다웠다. 자연의 힘...

다시 하늘 덕질.
꽤 안정기에 접어든 듯. 이제는 승무원들도 뭐라고 하지는 않더라.
하지만 꽤 긴 시간의 비행에 내가 지쳐서...
노을이 지는 모습도 멀리서 보이고...

어느 새 밤...

기내식도 한 컷.
가는 시간이 가는 시간이다 보니(모스코까지 대략 8시간 반...) 밥도 두 번 준다.
점심에 준 밥에는 삼계탕이 들어 있어서 놀랐던 기억도.

다시 하늘 덕질.
이럴 때는 정말, 내가 사진을?잘 찍지 못하는?것이 한스럽기만 하다.

정말 질릴 정도로 오래 비행기를 탄 후에야.
겨우 모스코 공항에 도착했다.
밤의 모스코 공항.

* 해당 포스팅은 티스토리 예약 기능을 이용하여 포스팅 되었습니다.
이후에는 점심시간에 맞춰볼까나. 눈누난나.

Creative Commons LicenseCreative Commons License

View the original article here

2009년 5월 12일 화요일

exam1

이건 뭐일까?

ㅋㅋ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