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RPG 한정으로 일본제일(日本一) 이라는 대담한(!) 사명을 가진 일본의 게임 제작사. 약칭 NIS. 사명을 지은 것은 사장인데 전 스태프의 반발을 무릅쓰고 사장이 결정했다고 한다. 한국에선 회사명의 독음을 알기 어려운지 니폰이치나 니혼이치, 닛폰이치 등 여러 표기가 사용된다. 그러나 영어명에서 볼 수 있다시피 日本一의 日本은 にっぽん으로 읽는다.[2] 일반적으로 일본어를 한글로 표기할 때는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촉음(っ)을 ㅅ받침으로 표기하기 때문에 '닛폰이치 소프트웨어'가 맞는 표기지만, 국내 유통사(인트라게임즈, CFK 등)의 보도 자료나 한국어판이 발매된 게임에서 니폰이치라고 번역이 되고 있기 때문에 국내 명칭은 '니폰이치 소프트웨어'다.
기네스북에 세계에서 가장 많은 SRPG를 제작한 회사 (The most prolific publisher of Strategy Role-Playing video games)로 등재되었다. 등록 자체는 2008년에 이루어지고 있었다. 그 외에 '세계에서 가장 높은 레벨 업이 가능한 게임', '세계에서 가장 표시되는 대미지가 큰 게임'이라는 기록의 등록도 있었던 것이 밝혀졌다. 모두 회사에서 신청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주로 전략 시뮬레이션 게임 혹은 RPG를 만들었지만, 최근 다양한 장르를 만들고 있다. 기본적으로 귀여운 캐릭터 디자인이 특징.
이 회사의 여름/신년 엽서는 회사 게임의 팬들에게는 중요하게 여겨진다. 이 엽서들에 들어가는 일러스트는 바로 차기작의 정보이기 때문. 실제로 2010년 여름안부엽서는 '디스가이아4', 2011년 여름안부엽서는 '마녀와 백기병'의 일러스트였다. 다만, 엽서에 나온다고 그 엽서의 캐릭터가 반드시 주인공이 되지는 않는다. 2012년 신년엽서의 신작은 신과 운명 혁명의 패러독스(PS3),2014년 여름 안부 엽서는 디스가이아 5(PS4).
회사 본사는 일본의 중부 지방이라고 할 수 있는 기후 현의 가카미가하라(各務原)시에 위치해 있다.(디스가이아와 프리니의 고향, 니폰이치 소프트웨어를 가다) 기사를 보면 알겠지만 도시가 제대로 시골 포스다. 2015년에 87제곱킬로미터에 인구 15만명짜리 도시니까, 대략 경기도 하남시(93제곱킬로미터, 15만명) 수준
전신이 된 회사명은 '유한회사 프리즘'으로 1991년에 창립되었다. 유한회사 프리즘은 현 니폰이치 소프트웨어의 회장인 키타즈미 코이치 회장이 썬전자의 게임 개발자 6명과 함께 설립한 회사이다.
회사 운영과 개발 과정에서 프리즘 기획(현 니폰이치 소프트웨어)를 설립하고,1993년 7월 12일 주식회사 니폰이치 소프트웨어로 사명을 변경하고 1994년부터 마작, 직소 퍼즐 관련 게임들의 개발을 주로 맡게 되었다.
1998년 불꽃의 요리인 쿠킹파이터 하오로 주목을 받기 시작하였다. 동년 연말에 발매한 메르헨 스타일의 뮤지컬 RPG 마알왕국의 인형공주의 성공으로 자신들의 이름을 알린 니폰이치는 마알왕국 시리즈가 성공을 거두자 연이어서 야리코미(파고들기) 요소가 강한 SRPG 라 퓌셀: 빛의 성녀 전설과 마계전기 디스가이아를 발매하여 메이저 제작사로 등극했다.
이후 계속해서 플레이스테이션 시리즈로만 게임을 내 왔으나, 2008년부터는 여러 기종으로 게임들을 발매하기 시작했다. 휴대용 기기의 경우 PSP, NDS, 휴대폰 등으로 자사의 게임들을 이식해서 발매 하다가, PSV용 게임 특수보도부, htoL#NiQ-반딧불이의 일기, 아이폰용 게임 마메퀘 등 휴대기기 전용 작품들도 내놓기 시작하고 있다. 요즘에 휴대기로 먼저 나왔다가 거치기로 이식되는 경우도 많은 편.
퍼블리셔로서도 활약 중이며 원래는 해마다 두 세개 정도의 게임을 발매하던 것이 퍼블리싱을 시작한 2007년부터는 매년 평균적으로 열개 무렵의 게임을 발매하게 된다. 북미와 유럽시장의 유통망을 확보하기 위해 자회사도 만들고 미국지사(NIS America)를 설립하기도 하였다.
2012년 10월에 오사카에 새로 개발 스튜디오를 설립하였다.
2013년 프로 축구클럽 FC기후의 공식 후원사가 되었다.
2015년 4월 베트남에 Nippon Ichi Software Vietnam Co., Ltd.를 설립하였다.
2016년에는 자사 게임들을 PC로 하나둘씩 이식하고 있다. 2월에 이식된 마계전기 디스가이아를 시작으로, 5월에는 htoL#NiQ-반딧불이의 일기가 이식되었으며, 이후에도 팬텀 브레이브나 요마와리: 떠도는 밤 등 여러 작품들이 지속적으로 PC로 이식되고 있다.
2017년에는 디스가이아 5를 닌텐도 스위치에 내놓아 간을 보고 나서[3] 2018년 부터는 PS4와 스위치 멀티플랫폼 위주로 게임을 출시하겠다고 발표하였다. 원래 PSP와 비타 등 포터블 콘솔에 좀 더 어울리는 게임들을 내놓았던 니폰이치였던 만큼 스위치의 흥행을 눈여겨본 듯 하다.
.